2025년 4월,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20% 감소…냉동 명태·청어 수입 크게 줄어
2025년 4월 중 국내로 수입된 러시아산 수산물은 총 22,061톤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27,624톤) 대비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4월 누적 수입량 역시 93,633톤으로, 전년 동기(103,079톤) 대비 9% 줄어든 수치다. 러시아산 수산물은 전체 수입 수산물 317,790톤 중 약 29%를 차지하며 여전히 주요 수입국으로 자리하고 있으나, 품목별로는 뚜렷한 희비가 엇갈렸다. 냉동 명태는 53,442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60,834톤) 대비 12% 감소했고, 냉동 청어는 4,956톤으로 전년(8,175톤)보다 31% 줄어들며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냉동 명태 곤이 역시 4,969톤으로 전년(6,095톤) 대비 18% 감소했다. 반면, 냉동 명태알은 5,905톤이..
11월 2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헤드라인 기사
■ 노르웨이, 고등어 수출단가 전년대비 23% 상승■ 흰다리새우, 베트남/에콰도르/말레이시아 현지시세 급등■ 미국, 알래스카 B시즌 명태 조업량 큰 폭으로 늘어…■ 노르웨이, 고등어단가 상승에 수출액 역대 최고치 갱신■ 러시아, 중국에 명태알 시장 개척 위한 계획 추진■ 한국의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10월까지 12% 줄어■ 부산국제수산엑스포, 11월 6일부터 3일간 개최■ 흰다리새우, 인도의 생산량 감소에 에콰도르산 가격 상승■ 러시아, 명태 필렛 포함 수산물 수출세 면세 시행 확정■ 바렌츠해, 대구 조업할당량 34만톤에 합의 , 최근 33년중 가장 적은 물량■ 일본, 냉동 가리비 수출량 4.7배 늘어난 7,000톤 집계 (9월■ 10월까지 수산물 수입량, 2023년대비 7% 감소■ 국내 꽁치 재고,..
2024년 9월 2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2024년 9월 2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 노르웨이, 8월중 고등어 수출물량 122% 늘어나..■ 에콰도르, 양식 흰다리새우 가격 4% ~7% 상승하여 아시아산■ 8월까지, 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4% 증가■ 필리핀, 국가의 효율적인 참치관리 계획 추진■ 베트남, 7월까지 참치 수출 USD 5억 5,800만달러■ 브라질, 양식 틸라피아 수출랴 감소로 현지 유통 가격 하락■ IATTC, 동태평양지역의 참다랑어 TAC 50% 늘려…■ 베트남, 흰다리새우 가격 하락 후 반등 조짐 보여..■ 러시아, 9월 10일기준 360만톤의 수산물생산■ 냉동오징어 동체 수입량, 2023년대비 반토막 수준…■ 러시아, 9월 10일기준 연어 조업량 215만톤으로 집계■ 노르웨이, 생연어 가격 하락하고 수출물량은 늘..
2024년 7월 1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 중국, 수입새우 가격 10년만에 최저 수준 유지 ■ 태국, 2분기에도 참치 수출량 꾸준히 증가세■ 러시아, 상반기 수산물 생산량 전년대비 1% 늘어■ 캐나다산 활 랍스터 유통시세, 6년만에 최저 수준 ■ 노르웨이, 냉장 연어 가격 하락으로 6월 수출금액 큰 폭 하락■ 인도네시아, 미국의 새우관련 반덤핑 관세로 심각한 상황■ 중국, 호주산 랍스터 수입재개을 위한 검토작업 진행■ 온두라스, 대만과의 외교 단절로 새우 수출량 감소■ 베트남, 2024년 상반기 수산물 수출 USD 44억달러로 7% 증가■ 7월 1주, 인도/태국/인도네시아 흰다리새우 현지 양식장의 시세 하락■ 일본산 가리비, 미국/대만/동남아 수출 늘어 가격 상승■ 북한 강제 노역 연계된 수산물 4,000톤, 한국 수입 ■ 2024년 상반기,..
2023년 5월 1주차 해외수산 관련 소식 - Union Forsea Corp.
캐나다, 바다가재 조업시작에 따라 활상태의 도매가격 19% 하락 러시아, 올해 자연산 태평영연어 TAC 512,00톤으로 설정 에콰도로, 이상기후 현상으로 흰다리새우 양식장 가격 상승 FAO, 2023년 문어 공급량 감소로 가격 상승할 것으로 전망 캐나다, 일본에 러시아산 게류수입 중단 요구 기니산 냉동 서대 80% 증가하고 홍서대는 감소 미국산 냉동 각시가자미 수입량, 2022년 대비 42배 늘어… 러시아, 2023년 1분기 수산물 생산량 전년대비 9% 증가 노르웨이, 4월 5주차 생연어 수출가격 전주대비 10% 하락 러시아, 양식수산물 생산량 2023년 1분기에 16% 늘어…. WWF, IUU 인하여 USD 1억4,280만달러 손실 발생
러시아산 냉동 명태 수입량, 148% 늘어나..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러시아에서 수입한 수산물이 2021년의 동기간 대비 86%가 늘어난 346,295톤이 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산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총 수입물량인 724,699톤의 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입량을 많은 순으로 보면, 냉동 명태가 218,42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88,227톤 대비 148%가 늘어났으며 평균수입단가는 USD 1.10/키로에 형성되어 2021년의 USD 1.06/키로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2번째 수입량이 많은 냉동 청어는 22,72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9,961톤 대비 128%가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냉동 대구가 18,174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17,892톤 대비 2%가 늘어났다. 4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곱사연어는 16,..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증가 지속
러시아산 수산물의 한국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러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298,210여톤으로 2021년 동기간 수입량인 152,233톤과 비교하면 96%가 늘어난 물량이다. 수입금액은 USD 7억 5,880만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4억 4,270만달러 대비 71%가 증가하였다. 가장 수입물량이 많은 냉동 명태는 189,626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70,645톤 대비 168%가 늘어났으며 전체수입량의 66%를 차지하였고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청어는 20,051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6,619톤 대비 203%가 늘어났으며 수입량의 7%를 차지하고 있다. 3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곱사연어는 15,60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889톤과 비교하여 1,655%..
2022년 6월까지 수산물 수입물량 25% 증가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수산물 626,267톤이 국내로 수입 되었으며, 2021년 동기의 수입량인 500,364톤 대비 25.2%가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은 USD 25억 5만 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20억 315만 달러 대비 2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많은 10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청어, 냉동 오징어, 냉동 대구, 냉동 곱사연어, 냉동 아귀, 냉장 연어, 냉동 주꾸미, 냉동 오징어동체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어종은 냉동 곱사연어이며 2021년 대비 1,656%가 늘어났으며 반대로 가장 많이 감소한 어종은 냉동 오징어로20%가 줄어들었다. 냉동 명태를 포함한 청어, 대구 등은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냉동 고등어, 아귀 등을 포함한 5..
러시아산 명태/명태곤이/청어 수입량 급증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감소를 예상하였지만 반대로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에 따르면 2022년 4월까지 213,872톤이 들어와 2021년 동기의 101,487톤 대비 111%가 늘어난 것이다. 러시아산 주요 수입 어종의 수입량와 변동율은 하기와 같다. 냉동 명태는 139,401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49,006톤 대비 184% 증가 냉동 청어는 15,82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5,090톤 대비 211% 증가 냉동 곱사연어는 13,065톤이 수입 되었고 냉동 대구는 9,465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7,373톤 대비 28% 증가 냉동 명태곤은 4,790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 2,437톤 대비 97% 증가 냉동 임연수어는 4,530톤이 수입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