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산어종 관련자료

(31)
수산물 HSK 코드 검색 기능의 추가 안내 (주)유니언포씨입니다. 수입되는 수산물의 어종에 따른 HSK 코드와 영문명을 검색할 수 있는 HSK 코드 기능이 추가되어 PC/모바일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단 메뉴의 수산자료-HSK 코드 검색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검색은 어종명 또는 HSK 코드로 가능합니다유니언포씨 회원업체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 HSK코드란 ? HSK 코드는 "Harmonized System of Korea"의 줄임말로, 한국에서 수출입되는 물품을 국제적으로 통일된 분류 체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이다.이 코드는 전 세계적으로 무역 관련 상품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각 상품에 고유한 숫자 코드가 부여되며 HSK 코드를 검색하면 특정 제품의 수출입 통계, 관세, 무역 관련 규제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무역..
수산물 위생약정 체결국가 (2024년 10월 2일 기준) (주)유니언포씨부산소재 수산물 B2B사이트로 무역/유통/자료제공/위탁판매등의 업무www.forsea.co.kr  수산물 위생약정 체결국가 (2024년 10월 2일 기준)대상국위 생 약 정 명체결일시행일중 국수출입수산물 위생관리약정2001.4.5.2001.7.1.중 국수출입활수생동물검사‧검역약정2004.12.16.2005.10.15.베트남수출입수산물 품질관리 및 위생안전 약정2000.7.6.2003.4.1.인도네시아수출입수산물 위생안전 약정2005.9.15.2005.12.14.태 국수출입수산물 위생안전 약정2006.6.27.2006.7.27.러시아수출입수산물 및 수산가공품위생 양해각서2011.10.23.2013.2.1.에콰도르수출입수산물 품질관리 및 위생안전 약정2012.11.12.2014.1.1.칠 레수..
한글 스티커에 활용이 가능한 수산물의 명칭 검색 기능추가 (주)유니언포씨입니다.수산전문 B2B사이트인 포씨에서 수산물 어종의 한글명과 영문명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 하였습니다. 한글 어종명으로 검색하거나 영문명으로 검색이 가능하며, 특히 수산물 수입 시 한글스티커에 표시가 가능한 어종명을  참조로 표기하였으니, 회원업체에서는 활용 하시기 바랍니다 .메뉴의 위치는 유니언포시 웹사이트 -수산자료-어종명 검색부분입니다. => 바로가기*한글스티커(한글라벨/한글표시사항)를  위한 참조용도이며 최종 작성 후에는 거래하시는 관세사나 통관대행업체에  반드시 이상유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C 합동관세사 사무소 전화 : 051-961-0085 관세사 : 최현욱 *상담시 (주)유니언포씨 웹사이트를 보고 연락한다고 하시기 바랍니다.수산물에 대한 현황과 유통/무역, 수출입..
대서양꼬마민어 일반적인 특징 ▶ 형태적 특징 - 등지느러미 가시11개, 등지느러미 중기 27~29개, 뒷지느러미 가시 2개, 뒷지느러미 줄기 8개, 가슴지느러미 중기 17~19개, 배지느러미 가시 1개, 줄기 5개이다. - 아래턱에는 수염이 존재하며 감각공이 12개이다. - 몸 빛깔은 밝은 회색빛을 띄며 등쪽은 불분명한 줄무늬 형태의 어두운 무늬가 사선을 이루며 등지느러미 가시와 꼬리지느러미 끝이 검다. ▶ 생태적 특징 - 산란: 미국 노르캐롤라이나주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근해에서 가을에 산란 - 식성: 갑각류, 어류 등 섭이 - 분포: 서대서양(아르헨티나, 쿠바, 도미니카공화국, 멕시코, 푸에르토리코, 미국 등) - 서식지: 수심 100m 이나, 진흙과 모래 바닥의 연안에 서식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
닭새우의 종류와 특징 닭새우 학명: Panulirus japonicas 영명: Japanese spiny lobster 분포지: 일본, 한국, 중국 등 서태평양 지역 닭새우는 전체적으로 적갈색을 띄며, 머리 앞 가장자리에 한 쌍의 큰 가시가 있으며 복부의 각 절에는 짧은 털이 난 가로 골이 있다. 한국에서 걸그물로 포획하지만 그 수가 많지 않아 포획을 제한하고 있으며 현재 인공양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뿔닭새우 학명: Panulirus longipes 영명: longlegged spiny lobster 분포지: 인도양, 필리핀, 대만, 일본, 호주 동부 몸길이는 20cm 정도이며 복부에 지름 1-2.5mm의 흰색 반점이 있다. 머리 앞쪽 언저리에 한 쌍의 큰 가시가 있으며, 그 뒤쪽에 세 쌍의 작은 가시가 있다. 호주..
학꽁치의 일반적인 특징 ▶ 학꽁치의 일반적인 특징 대체적으로 회로 먹는 편이며, 숙성된 것 보다는 신선한 상태로 된 학꽁치를 선호한다. 또한 과메기로도 만들며, 사요리로도 이용된다. 쥐치포나 노가리와는 달리 특유의 단 맛과 향이 비교적 강한 편이다. 또한 튀김용, 구이용으로도 인기가 좋다. 다만, 요리를 하기전에 꼭 내장을 감싸고 있는 검은 막을 제거해야 하며, 이를 제거하지 않은 채로 섭취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 학꽁치의 용도 11월부터 3월사이에 잡힌 학꽁치가 가장 맛있으며, 어군탐지기로 학꽁치를 찾으면 양조망을 펼쳐학공치 떼를 포위하고 두척이 한조가 되어 서서히 거리를 좁히며 잡아들인다. 선도가 좋은 학공치는 근육이 희고 투명한게 특징이며, 시간이 지날 수록 투명도가 점차 흐려진다. 투명감으로 선도를 짐작할 수 있..
해조류 종류별 특징 ▷해조류(seaweed)란? 바다에 사는 조류를 통틀어 일컫는 말, 또한 연안의 해저에서 태양광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식물을 일컫는 말로서, 몸에 지닌 색소와 생식 방법 등에 따라 녹조류, 황갈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으로 구분된다. ▷해조류의 이용 한국, 중국, 일본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가축의 사료나 각종 해조산업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해조류 식품은 단백질, 지방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은 소화율이 낮아서 영양가는 적지만, 칼륨·요오드·칼슘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A, C 등의 함량이 높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혈압강하·동맥경화 예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건강식품으로 사용된다.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
민어의 일반적인 특징 분포: 한국의 황해와 남해, 동중국해에 분포, 특히 황해에서 많이 어획된다. 특징: 몸길이 60-90cm로 길쭉하며, 부레에 여러 가닥으로 뻗어나가 나뭇가지처럼 된 돌기가 있으며, 부레는 젤라틴을 함유하고있어 민어풀이라 하여 아교로 사용되어 왔다. 효능: 소화와 흡수가 빨라서 어린이나 노인, 환자 등에게 발육, 건강회복에 효과적인 약으로 여겨지며, 흰살생선인 민어는 체내 지방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풍부하고, 비타민 A, B등 영양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다. 또한 칼슘, 인, 철분, 나이아신, DHA, EPA, 오메가-3 등 두뇌활동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도 풍부하다. 구매요령: 싱싱한 민어는 눈이 선명하고 투명하며, 아가미가 붉고 비늘이 상하지 않은 것이다. 포장된 상태에서는 기울여 봤을 때 물기가 고이지..
틸라피아의 생태적/종류별 특징 - 틸라피아는 (역돔, 태래어, 민물돔 등으로 불림)는 아프리카 원산의 식용 열대어로서, 아프리카대륙에는 그 종류가 많으나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되고 있는 것은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이다. - 열대성 어류로서 적수온은 24~32℃이며, 수온 12℃ 이하에서 장시간 방치하면 폐사한다. - 염분농도 13.5~29‰에서 산란하며, 35‰까지 적응하기도 하며 산란은 22~24℃에서 이루어진다. -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초식성이며, 광염성으로 비교적 낮은 산소에서도 잘 자랄수 있는 생태적 특성 때문에 다른 어종에 비하여 높은 밀도로 기를 수도 있다. - 틸라피아는 국내에서 초밥이나 횟감용으로 이용되며, 주로 대만에서 수입되어 유통된다. - 일반적으로 원물 상태의 틸라피아를 잡아 머..
정어리의 일반적인 특징 1. 정어리 명칭의 유래 정어리는 청어목 청어과에 속하고, 동해 남부해역에서 월동을 하고 봄이되면 북상하는 계절 회유성 어종이다. 정어리는 생선의 사료로도 이용 되기 때문에 ‘바다의 목초’ , ‘바다의 쌀’이라고도 불린다. [자산어보]에는 정어리를 대추라 이르고 그 형태와 회유에 관해 기록하고 있다. 주 산란장은 한국 다도해와 일본 규슈남방이며 다른 어류에 비해 번식력이 강하다. 외국에서는 정어리가 많이 서식하던 사르데냐(사르디니아)의 이름을 따서 영어이름은 sardine라고불리운다. 2. 정어리 제철 및 선택법 정어리의 산란기는 12~6월이며, 우리나라에서의 주산란기는 2~4월이다. 알을 낳기 직전인 9~10월에 가장 맛이 좋다. 정어리의 몸길이는 17~18cm 정도이고 등은 청색, 배는 은백색을 띠고..
곤이의 일반적인 특징 ▶수입산 곤이 특징 곤이는 주로 미국, 러시아, 노르웨이 등지에서 수입되며, 들어온지 얼마 안 된 제품은 흐물흐물 풀어져버리는 단점이 있어서 숙성이 되어서 단단해지고 사용하기 쉬운 수개월이 지난 제품을 선호하는 편이다. 과거 일부 미국산 명태 곤이는 조업선에서 조업된 후 알래스카 코디악 섬 등 육상 기지 가까이 정박해 있는 공모선(명태 필렛, 연육(수리미), 명란, 곤이 가공 설비를 갖춘 수천톤급 선박)에서 가공되거나 혹은 하역 후 육상공장에서 가공된 후 수입되었다. 이는 육상 동결 제품과 같은 품질 수준으로 같은 시기 선상 동결 제품을 위주로 생산한 러시아산 제품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2-3년전부터 대부분의 공모선이 조업선과 선단을 이루어 신속하게 선상에서 명태, 대구 가공제품을 생산..
명태의 생태적/형태적 특징 ▶생김새 몸길이는 60m 정도이며, 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약간 납작하고 입이 크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짧으며, 양 턱의 이빨은 같은 크기이다. 아래턱 아래에 짧은 수염이 1개 있다. 등지느러미는 3개, 뒷지느러미는 2개이며, 꼬리지느러미는 뒤끝 가장자리가 수직 모양이다. 몸의 색깔은 등쪽이 갈색, 배쪽은 흰색이며, 몸 옆에는 불규칙한 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산란기 산란기는 12~4월이며, 산란 시기가 되면 수심 50~100m 정도의 모래와 진흙이 섞인 평탄한 지역에 알을 낳는다. 부화 후 5년이면 대략 30~40cm로 자라는데, 최대 수명은 10년이며, 최대 크기는 60cm 정도이다. 먹이로 작은 게나 새우, 멸치, 작은 어류, 오징어 새끼 등을 먹는다. ▶명칭 및 이용용도 회유성 어류로, 겨울에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