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갑오징어 (3) 썸네일형 리스트형 6월중 냉동 갑오징어 수입량 6% 증가 2022년 6월말 기준으로 냉동 갑오징어는 2,410톤이 들어와 2021년 동기 대비 14%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국산의 수입단가가 가장 높게 형성이 되었다. 총 8개국가에서 냉동 갑오징어가 수입되고 있는데, 국가별 수입단가는 태국 USD 8.50/Kg로 가장 높은 단가에, 베트남 USD 5.00/Kg, 인도네시아 USD 6.44/Kg, 소말리아 USD 3.52/Kg, 모리타니 USD 1.26/kg 가장 낮은 단가에 수입되었다. 물량면에서는 베트남에서 63.5%(1,532톤)이 수입되었고, 인도네시아 9.9%(239톤), 소말리아 9.4%(227톤), 태국 183톤 등의 순으로 수입되었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6월 평균 수입량은 364톤이며 최근 6년 중 6월까지 누적 수입량은 2022.. 베트남의 두족류 수출동향 베트남 수산물관련 부서에 따르면 2021년 11월?까지 베트남의 오징어/낙지를 포함한 두족류의 수출액은 USD 5억 4,300만달러로 2020년 동기보다 7%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리고 12월중 두족류의 수출금액은 USD 6,000만달러로 추산되어 10%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2021년도 두족류 수출은 USD 6억달러를 달성하였으며 7%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어종별로 구분하면 오징어과 갑오징어가 전체물량의 52%, 주꾸미가 48%를 차지하였는데, 코로나 19가 장기화 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통기간이 길고 가공/소비에 유리한 오징어와 갑오징어의 비율이 높아졌다. 2021년 11월기준으로 베트남 두족류의 주요 수입국가는 한국, 일본, 태국, 중국, 홍콩, 이탈리아, 미국, 말레이시아.. 6월중 베트남 수입량 27% 감소 2021년 6월 말까지 베트남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4,723톤으로 전년동기 29,115톤 대비 15% 감소한 나타났다. 2021년 6월중 베트남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4,467톤으로 전년동기 6,097톤 대비 27% 감소하였으며 누적 수입량 24,719톤으로 전년 30,108톤 대비 18% 감소하였다. 6월중 수입금액은 USD 2,845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3,253만 달러 대비 13% 감소하였고 누적 수입금액은 1억 4,777만 달러로 전년 1억 7,176만 달러 대비 14% 감소하였다. 2021년 6월 말까지 베트남에서 수입된 주요 어종인 주꾸미(냉동) 는 10,766톤이 수입 되어 전년동기 8,740톤 대비 23% 증가 젓새우(염장) 는 2,784톤이 수입 되어 전년동기 5,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