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산 수산물, 수입량 5% 늘어나...
2022년 5월까지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수산물은 21,339톤으로 2021년 동기의 20,255톤과 비교하면 5%가 늘어난 수치이며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에 이어 4번째로 많은 물량을 베트남에서 구매하고 있다. 베트남산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주꾸미, 염장 젓새우, 냉동 낙지와 냉동 갑오징어 순이다. 냉동 주꾸미의 경우, 7,970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8,755톤 대비 9%가 줄어들었으며 염장 젓새우는 3,371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2,569톤 대비 31%가 늘어났다. 냉동 낙지는 2,489톤이 들어와 17% 증가, 냉동 갑오징어는 1,163톤을로 11% 증가하였으며 냉동 흰다리새우살은 838톤이 수입되어 전년대비 6%가 줄어들었다. 6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마른 밴댕이는 703톤이 수입되..
냉동 주꾸미, 76% 베트남에서 수입
3월까지 수입된 수산물은 총 302,662톤이며 냉동 주꾸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5% 인 6,205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비중인 2.52% (258,403톤 중 6,512톤) 대비 감소하였다. 3월 중 냉동 주꾸미 수입량은 2,359톤으로 전년 2,198톤 대비 7% 증가하였고 누적 수입량은 6,205톤으로 전년 6,512톤 대비 5% 하락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3월 평균 수입량은 1,988톤이며 3월까지 냉동 주꾸미는 2019년(6,920톤)에 가장 많이 수입되었으며 2020년(5,023톤)에 가장 적은 수입량을 보이고 있다. 올해의 냉동 주꾸미 주요 수입국가는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말레이시아 등을 포함한 총 8개국이며 베트남에서 전체 수입량의 76% (..
베트남의 두족류 수출동향
베트남 수산물관련 부서에 따르면 2021년 11월?까지 베트남의 오징어/낙지를 포함한 두족류의 수출액은 USD 5억 4,300만달러로 2020년 동기보다 7%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리고 12월중 두족류의 수출금액은 USD 6,000만달러로 추산되어 10%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2021년도 두족류 수출은 USD 6억달러를 달성하였으며 7%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어종별로 구분하면 오징어과 갑오징어가 전체물량의 52%, 주꾸미가 48%를 차지하였는데, 코로나 19가 장기화 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통기간이 길고 가공/소비에 유리한 오징어와 갑오징어의 비율이 높아졌다. 2021년 11월기준으로 베트남 두족류의 주요 수입국가는 한국, 일본, 태국, 중국, 홍콩, 이탈리아, 미국, 말레이시아..
냉동 주꾸미, 2021년 10월까지 수입누계 5% 증가
2021년 10월까지, 냉동 주꾸미 수입비중 차이 없어…. 2021년 10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861,504톤이며 냉동 주꾸미가 차지하는 비중은 2.6% 인 22,259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2.7% 대비 비슷하였다. 2020년 12월까지 수입된 냉동 수산물은 1,042,898톤으로 이 중 냉동 주꾸미 수입량은 27,940톤으로 2020년에 차지하는 수입비중은 2.7% 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10월중 냉동 주꾸미 수입량 1% 감소. 2021년 10월중 냉동 주꾸미 수입 물량은 2,976톤으로 전년 2,991톤 대비 1% 감소하였으며 올해 10월 누적 수입물량은 23,418톤으로 전년 22,259톤 대비 5% 증가하였다. 전체 수입물량의 77% 베트남에서 수입. 올해 10월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