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산물수입동향

(7)
일본, 2022년 러시아와 연어 조업 할당량 타결 일본과 러시아가 2022년 일본 주변 200해리 해역에서 일본의 연어 어획 할당량을 2021년과 동일한 2,050톤을로 유지하기로 사실상 합의했다고 일본 수산청이 발표하였다. 이로 인하여 일본 어민들이 어업 성수기인 5월 초부터 이 지역에서 연어 조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본은 러시아 강에서 이동해서 일본 해역으로 오는 수산물을 잡으려면 러시아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번 합의는 지난 4월 11일부터 시작된 온라인 협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일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하여 미국, 유럽연합과 같은 동맹국과 러시아에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결과이다. 일본은 어획량에 따라 2022년도에 러시아측으로 2억~ 3억엔을 어업협력비를 지급해야 하며 하한선은 2021년에는 2억 6천만엔을 지불한..
세네갈산 냉동 갈치 수입량, 큰폭으로 떨어져…. 세네갈산 수산물의 수입량이 25% 감소하였다. 지난 3월말 기준으로 세네갈에서 수입된 물량은 289톤으로 2021년의 387톤과 비교하면 25%가 줄어든 수치이다. 세네갈의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자숙 위고둥살, 냉동 영상가이석태, 냉동 갈치, 냉동 홍서대순이었으며 냉동 영상가이석태의 수입량은 66톤으로 수입량이 소폭 늘어났지만 냉동자숙 위고둥살은 85톤이 들어와 1%가 감소 하였으며 냉동 갈치는 60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의 144톤 대비 58%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에 수입이 되는 어종으로는 냉동 홍서대, 냉동 소주목탁가자미와 냉동 문어등이 있다. 2022년 3월까지 세네갈에서 수입되는 금액은 USD 738,000달러로 2021년 동기의 USD 1,089,000달러 대비 32%가 감소한 것으..
뉴질랜드산 냉동 홍합 수입량 급감… 뉴질랜드에서 가져오는 주요 수입어종인 냉동자숙 홍합(반탈각)의 수입량이 큰 폭으로 하여 국내 유통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7월말 기준으로 364톤의 뉴지산 홍합이 수입되었는데 이는 2020년 동기의 960톤 대비 595톤이 줄어든 62%가 감소한 수치이다. 또한, 냉동 오징어, 냉동 홍어도 각각 12%, 14%의 수입량 감소폭을 보이고 있다. 2021년부터 수입량이 다시 되기 시작한 어종은 냉동 체장메기, 냉동/냉동 왕연어와 냉동 왕연어필렛이 있다. 참조로 2021년 7월말까지 수입된 물량은 1,651톤으로 전년동기 2,288톤 대비 28% 감소 하였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유니언포씨 홈페이지 –국가별통계 –뉴질랜드 참조 문서번호 : union-2021-0823-1
2021년 7월까지의 냉동 갈치 수입동향 2021년 7월 누적 수입물량은 7,685톤으로 전년 8,379톤 대비 8% 감소 하였으며 7월중 냉동갈치 수입물량은 2,726톤으로, 전년 2,002톤 대비 36% 증가 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최근 6년간 4월 평균 수입량은 2,535톤으로, 2021년 7월 수입량 2,726톤 대비 올해 8% 증가 하였다. 냉동갈치 주요 수입국가는 세네갈, 베네수엘라, 모로코, 중국, 오만, 에콰도르 등을 포함한 총 22개국 에서 수입 되었다. 냉동 갈치 수입량은 세네갈 2,833톤, 베네수엘라 1,215톤, 모로코 842톤, 중국 740톤, 오만 654톤, 남아공 435톤, 에콰도르 114톤 순으로 수입 되었다. 참조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세네갈산은 50,000원선, 오만산은 45,000원선 그리..
2021년 6월까지 수입된 수산물량 11%가 늘어나….. 지난 6월말까지 수입된 수산물은 507,978톤으로 2020년 동기의 459,564톤 대비 11%가 늘어나 것으로 집계되었다. 6월 누적 수입량이 많은 10대 수산물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오징어, 냉동 아귀, 냉장 연어, 냉동 꽁치, 냉동 주꾸미, 냉동 정어리, 냉동 낙지 순으로 나타났다. ​ 수입량이 가장 많은 냉동 명태를 제외한 대부분 어종의 수입이 늘어났으며 특히, 냉동 꽁치는 163%가 증가하였으며 냉장 연어 90%, 냉동 고등어 75%, 냉동 아귀는 52%의 수입량 증가 폭을 보이고 있다 ​ 냉동 명태의 경우, 올 6월까지 74,423톤이 수입되어 202078,237톤과 비교하면 4.9%가 감소한 수치이다.
2021년 5월까지의 수산물 수입검사 부적합 동향 2021년 5월 말까지 수입된 수산물량은 총 422,327톤으로 전년 389,794톤 대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월 누적 부적합 물량은 189톤으로 2020년 동기의 193톤 대비 2% 감소하였다. 2021년 5월말까지의 누적 부적합 어종은 16종으로 문어(냉동), 오징어(냉동,지느러미), 검복(냉동), 홍어(냉동), 까치복(냉동), 가리비(활), 갑오징어(냉동,동체), 흰다리새우(냉동,자숙,살), 틸라피아(냉동,필렛(F)), 갑오징어(냉동,다리), 참복(냉동), 활새치(냉동,목살,횟감), 까지가자미(냉동), 뱀장어(활), 참다랑어(냉동,볼살,횟감), 황다랑어(건조) 등이 있다.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
2021년 5월까지의 주요 어종별 수입동향 2021년 5월까지 수산물 422,327톤이 국내로 수입되었으며, 수입금액은 USD 16억 7818만 달러로 2020년 동기의 389,794톤 대비 8.35%가 상승하였고 수입금액은 15억 7119만 달러 대비 6.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누적 수입량이 많은 10대 수산물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아귀, 냉동 오징어, 냉장 연어, 냉동 꽁치, 냉동 정어리, 냉동 주꾸미, 냉동 각시가자미, 냉동 대구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가장 많은 냉동 명태를 제외한 품목들은 모두 수입량이 증가한 것으로 통계되었다. 특히 냉동 고등어는 18,639톤이, 냉장 연어는 6,886톤이, 냉동 아귀는 5,460톤이 증가하였다. 주요 어종별 수입량 증감 비율 1. 냉동 명태 25.18% 감소 2. 냉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