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통계 (7)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년 1월 냉동 꽁치 수입량, 89% 급감 지난 1월 국내로 수입된 냉동 꽁치의 수입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수입량은 총 205톤으로, 2024년 1월의 1,812톤에 비해 무려 89% 줄었으며 이로써 냉동 꽁치의 수입 비중은 전체 수산물 수입량인 75,350톤 중 0.3%에 불과한 수준으로 축소됐다.1월까지 수입된 냉동 꽁치는 전량 대만에서 들여온 것으로 확인됐으며, 수입단가는 키로당 US 3.41달러로 형성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단가인 USD 2.65달러에 비해 약 29% 상승한 수치다.하지만 수입단가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입금액은 크게 줄었는데 1월 냉동 꽁치의 수입금액은 총 70만 달러로, 2024년 1월 기록한 470만 달러 대비 85% 감소했다. 수산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감소세에 대해 “해.. 2024년 10월 9일 - 수산관련 국내외 헤드라인 뉴스기사 ■ 온두라스산 새우,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중국에 첫 컨테이너 도착 ■ 태국, 어획량 감소로 가다랑어 가격 급등■ 러시아, 명태 HG가격 상승세 계속 유지 ■ 노르웨이/러시아, 대구 HG 가격 사상 최고치 갱신■ 명태 수리미 생산량, 2023년 대비 11% 감소한 384,000톤으로 집계 ■ UN, 수산물 무역 강화 위해 관세 인하 제안■ 러시아, 재고량 감소로 양식 새우 수입량 갈수록 증가-----------------------------------------------------------------------------------------------------------국내외의 수산업과 수산물에 관련된 최근 소식을 발췌/정리하여 기재하고 있습니다. 본 사이트의 게재 내용 또는 컨텐츠.. 2024년 4월 5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러시아산 냉동 명란 부산 경매가격 하락세 베트남, 두족류 최대시장 한국으로 전체의 42% 차지러시아, 2024년 극동해역 연어 조업량 32만톤 예상에콰도르, 중국의 FTA 5월 1일부터 발효 러시아, 2025년 명태 TAC 2024년 수준유지 예상 노르웨이, 냉장 대서양연어 가격 4월 3주차에 하락미국, 베링해 던지네스크랩 조업 5월 1일 시작중국, 에콰도르와 FTA로 흰다리새우 수입관세 철폐 미국, 명태드레스 가격상승/ 필렛&수리미 가격하락러시아, 연육(수리미) 수출가격 20% 떨어져..캐나다, 활 바다가재 가격 절반 수준으로 하락이란, 2023년도 21만톤 이상의 수산물 해외로 수출페루, 멸치 할당량 증가로 인해 어분 가격 하락일본, 2023년 중국행 수산물 수출량 57% 감소수산물에 대한 현황과 .. 2023년 10월 1주차 해외/국내 수산 관련 뉴스 -이란, 2023년 새우수출 11,104톤 수출되어 48% 증가폭 보여… -일본, 8월중 중국행 수산물 수출액 전년대비 70.8% 감소 -베트남산 갑오징어/주꾸미등 연체류의 수입량 감소 -CONXEMAR 2023, 제24회 국제냉동 수산물 전시회 10월 3일부터 열려… -칠레 연어, 미국행 가격 보합세 유지 브라질행 가격 상승 -러시아, 국제적인 경제 제재에도 불구하고 수출증가 양식생산 늘어… -2023년 9월누계, 수산물 수입량 714,919톤으로 전년비교 20% 줄어… -미국, Blue Harvest(社) 파산으로 투자자 손실 우려… -노르웨이, 전염성 연어빈혈(ISA) 감염 추가 발생 -BlueNalu, 미쓰비시/타이유니언/풀무원과 양해각서 체결 -2023년 9월까지, 러시아/중국/페루/노르웨이 순.. 중국, 2025년까지 수산물 생산량 6,900만톤 계획 중국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의 국가 발전 전략을 계획하는 제 15차 5개년 계획에서 2025년까지 수산물 생산량을 6,900만톤까지 늘릴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부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에 6,450만톤, 2020년 6,540만톤, 2021년 6,570만톤을 생산하였으며 2022년에는 6,610만톤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제 15차 5개년에 따르면 2025년까지 돼지고기의 생산량을 5,500만톤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인의 주요 단백질 공급 식품인 돼지고기 보다 많게 수산물을 생산하는 계획으로 수산물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참조로 2022년 1월의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은 23,167톤으로 017년부터 2022년까지 1월 평균 수입량은 27,820톤이며 올해의 수입량.. 붕장어 필렛, 페루산 비중 높아지고 수입단가 하락 올해 페루산 냉동 붕장어 필렛의 수입량도 늘어나고 수입단가도 하락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 8월말 기준으로 수입된 페루산 물량은 736톤으로 2020년의 708톤 대비 4%가 증가하였으며 2020년의 489톤에서 올해 597톤으로 21%가 늘어나 수입비중 69.1%에서 81.1%를 차지하였다. 수입량 증가와 함께 수입단가도 하락하였는데 페루산의 경우 2020년의 평균 수입단가인 USD 6.67/키로 대비 올해는 14%가 하락한 USD 5.71/키로에 형성되었다. 냉동 붕장어 필렛 수입국가는 페루, 중국, 에콰도르 등으로 총 4개국 이며, 8월말까지 페루에서 597톤 수입이 되어 81.1%를 차지하였으며, 중국 97톤(13.2%), 에콰도르에서 24톤(3.3%)순이다. 국가별 수입 단가는 페루 US.. 2021년 5월까지의 수산물 수입검사 부적합 동향 2021년 5월 말까지 수입된 수산물량은 총 422,327톤으로 전년 389,794톤 대비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월 누적 부적합 물량은 189톤으로 2020년 동기의 193톤 대비 2% 감소하였다. 2021년 5월말까지의 누적 부적합 어종은 16종으로 문어(냉동), 오징어(냉동,지느러미), 검복(냉동), 홍어(냉동), 까치복(냉동), 가리비(활), 갑오징어(냉동,동체), 흰다리새우(냉동,자숙,살), 틸라피아(냉동,필렛(F)), 갑오징어(냉동,다리), 참복(냉동), 활새치(냉동,목살,횟감), 까지가자미(냉동), 뱀장어(활), 참다랑어(냉동,볼살,횟감), 황다랑어(건조) 등이 있다.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본 내용을 복제, 링크, 인용,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