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산관련 기사

(802)
러시아산 수산물 생산량 2.2% 늘어…(2022/2월) 러시아 관련부서에 따르면 지난 2월말 기준으로 러시아산 수산물 생산량은 768,500톤으로 이는 20201년 같은 기간에 비해 2.2%가 늘어난 수치이며 물량은 16,700톤이 증가하였다. 태평양극동지역(FAO61)에서의 생산량은 605,700톤으로 2021년 동기와 비교하면 8.6%가 늘어났으며 47,700톤이 증가하였다. 명태 464,300톤, 대구 26,100톤, 청어 65,900톤이 생산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전체 생산량의 76.6%가 명태였다. 참조로 2022년 2월까지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물량은 77.094톤으로 전체 수산물수입량인 189,641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6%를 차지하였으며 주요 수입어종은 냉동 명태(44,614톤), 냉동 청어(7,397톤), 냉동 곱사연어(6,755..
노르웨이 수입량 43% 증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1월 평균 수입량은 13,380톤이며 올해 수입량인 18,466톤은 평균 대비 38%의 증가세를 보이고 6년 중 올해의 수입량이 가장 높으며 2020년(7,875톤)에 가장 적게 수입되었다. 2022년 1월까지 노르웨이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18,466톤으로 전체 국가의 수입량은 총 98,158톤으로 이중 노르웨이는 1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월까지의 수입량은 전체 18,466톤으로 전년동기 12,896톤 대비 43% 증가하였다. 1월 중 노르웨이에서 수입된 금액은 USD 7,584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5,217만 달러 대비 45% 증가 하였다. 2022년 1월 말까지 노르웨이에서 수입된 주요 어종인 냉동 고등어는 11,920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9,..
중국, 2025년까지 수산물 생산량 6,900만톤 계획 중국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의 국가 발전 전략을 계획하는 제 15차 5개년 계획에서 2025년까지 수산물 생산량을 6,900만톤까지 늘릴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부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에 6,450만톤, 2020년 6,540만톤, 2021년 6,570만톤을 생산하였으며 2022년에는 6,610만톤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제 15차 5개년에 따르면 2025년까지 돼지고기의 생산량을 5,500만톤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인의 주요 단백질 공급 식품인 돼지고기 보다 많게 수산물을 생산하는 계획으로 수산물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참조로 2022년 1월의 중국산 수산물 수입량은 23,167톤으로 017년부터 2022년까지 1월 평균 수입량은 27,820톤이며 올해의 수입량..
1월 냉동 갑오징어 수입량 21% 증가 2022년 1월에 수입된 수산물은 총 98,158톤이며 냉동 갑오징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0.51% 인 490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비중인 0.43%보다 높은 수치이다. 전년 동기의 수산물 수입량은 95,292톤으로 이 중 냉동 갑오징어 수입량은 406톤으로 집계되었다. 1월중 냉동 갑오징어 수입량은 490톤으로 전년 406톤 대비 수입량 21% 증가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1월 평균 수입량은 391톤이며 올해 수입량인 490톤은 평균 대비 25%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6년 중 올해의 수입량이 가장 높고, 2017년에 가장 적게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 갑오징어 주요 수입국가는 베트남, 소말리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 7개국이며 베트남에서 57.3%(281톤)이 수입되었..
미국에서 냉동 가오리 수입량의 29% 수입 2022년 1월까지 수입된 수산물은 총 98,158톤이며 냉동 가오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0.35%인 340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비중인 0.50% 보다 낮은 수치이다. 2021년 동기의 수입량은 95,292톤으로 이 중 냉동 가오리 수입량은 473톤으로 집계되었다. 2022년 1월 냉동 가오리 수입량은 340톤으로 전년 473톤 대비 28% 감소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1월 평균 수입량은 699톤이며 올해의 수입량은 평균 대비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6년 중 2019년의 수입량이 가장 높으며 올해의 수입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냉동 가오리 주요 수입국가는 미국,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중국 등을 포함한 11개국이며, 미국에서 전체 물량의 28.5%(97톤),..
노르웨이 생연어, 주간 수출 통계 (2022년 2월 2주차) 2022년 2월 2주차 수출단가는 EUR 8.0/키로에 형성되어 전주의 EUR 7.37/키로 대비 8.54%가 상승 하였으며 4주전과 비교하면 11.5%의 가격 상승 폭을 보이고 있다. 수출물량은 17,680톤으로 2021년 동기의 20,115톤과 비교하면 12.1% 감소 하였으며 전주의 17,327톤과 비교하며 2.03%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주간의 냉장 연어의 수출가격이다. (냉장 HOG연어, 3~6키로, FCA OSLO조건) 2월 2주차 EUR 8.00/키로 2월 1주차 EUR 7.37/키로 1월 5주차 EUR 7.03/키로 1월 4주차 EUR 7.18/키로 1월 3주차 EUR 7.17/키로 총 41,198톤의 냉장 연어가 2021년에 수입이 되었으며 이는 2020년 동기의 24,733톤..
1월 냉동 명태 수입량 32% 상승 2022년 1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98,158톤이며 냉동 명태가 차지하는 비중은 19.8%인 19,469 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비중인 15.5% 보다 높은 수치이다. 2021년 1월까지 수입된 냉동 수산물은 95,292톤으로 이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14,799톤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 1월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19,469톤으로 전년 14,799톤 대비 32% 증가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1월 평균 수입량은 11,341톤으로 2022년은 평균 대비 72% 증가하였다. 올해 1월 누적 냉동 명태 주요 수입국가는 러시아, 미국 순으로 총 2개국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에서 14,799톤, 미국에서 183톤 순으로 수입되었다. 국가별 평균 수입단가는 미국 USD 1.5..
1월 냉동 주꾸미 평균 수입단가는 3% 증가 2022년 1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98,158톤이며 냉동 주꾸미가 차지하는 비중은 2.23% 인 2,186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비중인 2.44% 대비 감소하였다. 2021년 1월까지 수입된 냉동 수산물은 95,292톤으로 이 중 냉동 주꾸미 수입량은 2,322톤으로 집계되었다. 2022년 1월 중 냉동 주꾸미 수입량은 2,186톤으로 전년 2,322톤 대비 6% 감소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6년간 1월 평균 수입량은 2,491톤으로 올해 1월의 수입량은 평균 대비 12% 감소세를 보인다. 냉동 주꾸미는 2021년에 가장 많이 수입되었으며 2019년에 가장 적은 수입량을 보이고 있다. 올해 1월 냉동 주꾸미 주요 수입국가는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인도 등..
필리핀 냉동 자숙 문어, 전복살 수입량 증가 2022년 1월까지 필리핀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전체 86톤으로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98,158톤으로 이중 필리핀의 수입량은 전체의 0.1% 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월 중 필리핀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86톤으로 전년동기 57톤 대비 51% 증가하였다. 1월중 수입금액은 USD 120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65만 달러 대비 84% 증가하였다. 2022년 1월 말까지 필리핀에서 수입된 주요 어종인 냉동 자숙 문어는 37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18톤 대비 106% 증가 냉동 자숙 전복 살은 25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7톤 대비 257% 증가 냉동 자숙 문어 다리는 6톤이 수입되어 전년동기 3톤 대비 100% 증가 냉동 자숙 문어 (포장횟감)는 4톤이 수입되었고 건조 자숙 해..
1월까지 냉동 고등어 수입금액 60% 상승 2022년 1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98,158톤이며 냉동 고등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13.2% 인 12,956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10.7% 보다 높은 수치이다. 2022년 1월 냉동 고등어 수입 물량은 12,956톤으로 전년 10,206톤 대비 27% 증가하였다. 냉동 고등어 수입국가는 노르웨이, 중국, 네덜란드, 영국, 러시아, 독일, 프랑스 총 7개 국가에서 수입되었으며 1월 수입량은 노르웨이 11,920톤, 중국 457톤, 네덜란드 294톤, 영국 95톤, 러시아 74톤, 독일 71톤, 프랑스 45톤 등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평균 수입단가는 영국 USD 2.47/키로로 가장 높은 단가에, 노르웨이 USD 2.46/키로, 중국 USD 2.14/키로, 러시아가 USD 1..
2021년, 베트남 냉동/마른 수산물 수출량 늘어… 베트남산 수산물의 2021년 통계를 보면 전체수출의 44%를 새우가 차지하였으며 수출액은 USD 39억달러였으며 팡가시우스는 18%(USD 16억달러), 기타어류는 19%(USD 17억달러)를 차지하였다. 참치류의 수출은 USD 7억 5,900만달러로 2020년대비 17%를 늘어났으며 전체의 8.5%를 차지하였고 오징어와 문어 같은 연체류는 7%(USD 6억 1,900만달러)이었다. 2021년중 수출금액이 가장 높은 어종은 흰다리새우로 수출의 33%를 차지하고 수출액은 USD 30억달러이었으며 블랙타이거는 7%로 USD 7억 5,700만달러, 어묵과 수리미는 7%를 차지한 USD 6억 1,900만달러이었다. 오징어는 USD 3억 1,500만달러, 문어 USD 2억 9,400만달러로 수산물 수출액의 3% ..
2022년 1월 주요 국가별 월간 수산물 수입현황 2022년 1월까지 수산물 98,158톤이 국내로 수입되었으며, 2021년 동기의 수입량인 95,292톤 대비 3%가 상승하였고 수입금액은 4억 556만 달러로 전년 3억 4,380만 달러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까지 수입량이 많은 10개국은 러시아, 중국, 노르웨이, 베트남, 대만, 일본, 페루, 미국, 칠레, 키리바시 순으로 나타났다. 대만, 페루, 미국은 전년대비 올해 수입량이 감소하였고 러시아, 중국 등을 포함한 7개국은 수입량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칠레의 경우 올해 USD 684만 달러가 수입되어 전년 USD 141만 달러 대비 385% 증가하였다. 이번 1월의 특징은 키리바시산 수산물 수입량이 10위를 차지하였는데 933톤이 들어왔으며 주요 수입 어종은 냉동 참다랑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