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산관련 기사

(798)
6월중 냉동 낙지 평균 수입단가 9% 상승 2021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507,984톤이며 냉동 낙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19% 인 11,120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2.33% 보다 낮은 수치이다. 2021년 6월중 냉동낙지 수입 물량은 2,516톤으로 전년 2,819톤 대비 11% 증가하였으며, 6월누적 수입물량은 11,120톤으로 전년 10,613톤 대비 5% 증가세를 보였다. 냉동 낙지 주요 수입국가는 중국,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을 포함한 총 6개국으로, 중국에서 6월말까지 전체 물량의 64%인 7,131톤, 베트남에서 2,604톤, 태국 557톤, 인도네시아 423톤, 말레이시아 395톤, 마다가스카르 10톤 순으로 수입되었다. 수입단가는 태국이 USD 7.24/키로로 가장 높게, 중국 USD..
6월 누적 칠레 수입금액 71% 감소 2021년 6월 말까지 칠레에서 수입된 물량은 전체 7,402톤으로 전년동기 14,640톤 대비 49% 감소하였으며 6월 말까지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507,988톤으로 이 중 칠레에서 수입된 물량은 7,402톤으로 전체 수입물량의 1.5% 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중 칠레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2,286톤으로 전년동기 3,666톤 대비 38% 감소하였으며 6월말 수입량은 7,402톤으로 전년 14,640톤 대비 49% 감소하였다. 6월중 수입금액은 USD 387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1,003만 달러 대비 61% 감소 하였고 6월 누적 수입금액은 1,607만 달러로 전년 5,512만 달러 대비 71% 감소하였다. 2021년 6월 말까지 칠레에서 수입된 주요 어종인 ..
2030년까지 전세계 수산물 생산량 12.8% 증가 예상 유엔식량농업기구와 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2030년에는 수산물생산량(양식포함)이 2억 100만톤으로 2020년 대비 12.8%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율은 1.2%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가 10년이내에 최대 수산물 생산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연평균 성장율은 2.1%, 생산량은 3,300만톤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어 향후 10년간의 생산량이 지난 기간 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까지 수산물 생산량중 양식에서 23%가 증가한 1억 300만톤으로 보고 있으며 매년 2%씩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양식업 생산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2020년 57%에서 2030년 56%로 소폭 감소 할 것으로 ..
냉동명태 수입, 전년 동기대비 5% 감소 2021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507,984톤이며 냉동 명태가 차지하는 비중은 14.7% 인 74,424 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15.7% 보다 낮은 수치이다. 2020년 12월까지 수입된 냉동 수산물은 1,042,898톤으로 이 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163,866톤으로 2020년에 차지하는 수입비율은 15.7% 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 6월중 냉동 명태 수입 물량은 17,505톤으로 전년 2,168톤 대비 707% 증가하였으며 6월누적 수입물량은 74,424톤으로 전년 78,237톤 대비 5% 감소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6월 평균 수입량은 2,438톤으로 2021년 17,505톤 대비 86% 감소하였다. 올해 6월 누적 냉동 명태 주요 수입국..
6월중 파키스탄 수입량 41% 증가 2021년 6월 말까지 파키스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113톤으로 전년동기 1,502톤 대비 41% 증가하였으며 6월 말까지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507,988톤으로 이 중 파키스탄에서 수입된 물량은 전체 수입물량의 0.4% 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중 파키스탄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415톤으로 전년동기 455톤 대비 9% 감소 하였으며 6월말 수입량은 2,116톤으로 전년 1,509톤 대비 440% 증가하였다. 6월중 수입금액은 USD 101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125만 달러 대비 19% 감소하였고 누적 수입금액은 441만 달러로 전년 398만 달러 대비 10% 증가하였다. 2021년 6월 말까지 파키스탄에서 수입된 주요 어종인 게(냉동) 는 947톤..
6월중 냉동 가오리 수입, 전년대비 20% 감소. 2021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507,984톤이며 냉동 가오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0.69% 인 3,516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0.88% 보다 낮은 수치이다. 2020년 12월까지 수입된 냉동 수산물은 1,042,898톤으로 이 중 냉동 가오리 수입량은 9,223톤으로 2020년에 차지하는 수입비율은 0.88%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 6월중 냉동 가오리 수입물량 은 776톤으로 전년 953톤 대비 20% 감소 하였으며 6월 누적 수입물량 은 3,516톤으로 전년 4,721톤 대비 26% 감소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6월 평균 수입량은 834톤으로 금년 6월 766톤과 비교 9% 증가하였다. 냉동 가오리 주요 수입국가는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
6월중 페루 수입량 144% 증가 2021년 6월 말까지 페루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전체 24,896톤으로 전년동기 11,868톤 대비 110% 증가하였으며 2021년 6월 말까지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507,988톤으로 이 중 페루에서 수입된 물량은 24,896톤으로 전체 수입물량 의 5% 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중 페루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3,481톤으로 전년동기 1,424톤 대비 144% 증가하였으며 6월 누적 수입량은 24,899톤이며 전년 11,868톤 대비 109% 증가하였다. 6월중 수입금액은 USD 988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611만 달러 대비 58% 증가 하였고 6월 누적 수입금액은 6,433만 달러로 전년 4,535만 달러 대비 41% 증가하였다. 2021년 6월 말까지 페..
6월중 필리핀 수입금액 68% 감소 2021년 6월 말까지 필리핀에서 수입된 수산물량은 전체 635톤으로 전년동기 901톤 대비 30% 감소하였으며 2021년 6월 말까지 전체 국가에서 수입된 물량은 총 507,988톤으로 이중 필리핀에서 수입 된 물량은 635톤으로 전체 수입물량 의 0.1% 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중 필리핀에서 수입된 수산물 물량은 92톤으로 전년동기 178톤 대비 48% 감소 하였고 6월 누적 수입량은 634톤으로 전년 889톤 대비 1% 하락하였다. 6월중 수입금액은 USD 748만 달러로 전년동기 USD 2,553만 달러 대비 68% 감소 하였고 누적 수입금액은 650만 달러로 전년 1,233톤 대비 47% 감소하였다. 2021년 6월 말까지 필리핀에서 수입된 주요 어종인 문어(냉동,자숙) 는..
6월중 냉동 주꾸미 누적 수입금액 35% 상승 2021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507,984톤이며 냉동 주꾸미가 차지하는 비중은 2.8% 인 14,112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2.7%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2021년 6월중 냉동 주꾸미 수입 물량은 2,680톤으로 전년 2,550톤 대비 5% 증가 하였으며 올해 6월 누적 수입물량은 14,112톤으로 전년 11,745톤 대비 20% 증가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6년간 6월 평균 수입량 은 2,348톤으로 2021년 6월 수입량 2,680톤 대비 12% 감소하였다. 올해 6월 누적 냉동 주꾸미 주요 수입국가는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을 포함한 총 6개국이며 베트남에서 전체 물량의 77% (10,776톤) 수입되었고 태국 2,805톤, 인..
베트남, 중국행 수산물 수출량 6% 감소 2021년 5월말까지 베트남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수산물은 전년동기 대비 6%가 감소한 USD 4억 5,000만달러로 집계되었다고 VASEP(베트남수산물생산/수출협회)이 발표하였다. 지난 4월에는 11%, 5월에는 22%가 줄어들었으며 주요 모든 수산물에서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 새우의 경우는 53%, 어류 23%와 팡가이시우스는 5%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는데, 전체 수산물 수출량의 34%차지하는 새우는 19%가 감소하여 USD 1억 3,700만달러, 팡가이시우스 41%를 차지하고 있으며 17%가 감소한 USD 1억 6,650만달러로 통계되었다. 이러한 수출감소는 중국이 수산물을 수입할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를 점점 강화하면서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참조로 2021년 5월 ..
흰다리새우 전체 수입물량의 72%를 에콰도르에서 수입 2021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507,984톤이며 냉동 흰다리새우가 차지하는 비중은 1.63%으로 8,281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1.41% 보다 높은 수치이다. 2021년 6월중 냉동 흰다리새우 수입 물량은 1,226톤으로 전년 1,807톤 대비 32% 감소하였으며 6월말 수입 누적물량은 8,281톤으로 전년 7,459톤 대비 11% 증가하였다. 최근 6년간 (2016년-2021년) 6월 수입량 평균은 1,341톤으로 2021년 6월 수입량 1,226톤과 비교 9% 증가하였다. 냉동 흰다리새우 주요 수입국가는 에콰도르, 페루, 말레이시아,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콜롬비아, 인도네시아로 총 7개국 이며 올해 누적 수입량은 에콰도르 5,146톤, 페루 1,157톤, 말레..
6월 누적 냉동 고등어 수입금액 84% 상승 2021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507,984톤이며 냉동 고등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8.4% 인 42,796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0년도의 비중인 4.05%보다 높은 수치이다. 6월중 냉동 고등어 수입물량은 1,070톤으로 2020년 1,926톤 대비 44% 감소하였으며 6월 누적 수입물량은 42,796톤으로 전년 25,019톤 대비 71% 증가세를 보였다. 냉동 고등어 수입국가는 노르웨이, 중국, 러시아, 네덜란드 등 총 9개 국가에서 수입되었으며 6월 누적 수입량은 노르웨이 35,226톤, 중국 3,832톤, 러시아 3,100톤, 네덜란드 198톤 등이 수입되었다. 국가별 평균 수입단가는 노르웨이 USD 1.99/키로로 가장 높은 단가에, 대한민국 USD 1.03/키로로 가장 낮은 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