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시아명태

(13)
2025년 3월 4주차 냉동 명태의 사이즈별 도매 유통가격 냉동 명태의 사이즈별 도매 유통가격은 6통, 7통 사이즈는 가격이 하락하였고, 8통, 9통 사이즈는 상승하였다.(2025년 3월 18일 기준)   2025년 2월까지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 명태는 24,373톤으로 2024년의 25,500톤 대비 4% 하락하였으며, 그리고 2025년 2월까지의 냉동 명태의 수입 금액은 USD 25,484달러로 2024년 동기의 USD 25,247달러 대비 1%가 상승하였다. 2025년 2월까지의 냉동 명태의 평균 수입단가는 USD 1.05/키로에 형성되어 2024년의 USD 0.99/키로 대비 6% 상승하였으며, 국가별 가격은 러시아 USD 1.04/키로, 미국 USD 1.44/키로에 형성되었다. 국가별 비중을 보면 대부분 러시아 99.52%로 수입하고 있으며, 미국 0...
2024년 12월 25일 -수산관련 국내외 헤드라인 소식 ■ 2025년, 양식 새우와 대서양연어의 생산량 완만한 성장 전망■ 일본, 홋카이도 송어 조업량 46,000톤 시즌 종료■ 러시아, 2025년도 수산물 생산량 500만톤 예상■ 한국, 1월 ~ 11월까지 냉동 갈치 수입량  2023년 대비 14% 감소 -----------------------------------------------------------------------------------------------------------국내외의 수산업과 수산물에 관련된 최근 소식을 발췌/정리하여 기재하고 있습니다. 본 사이트의 게재 내용 또는 컨텐츠를 부분적, 전체적으로 무단으로 복사 또는 전제는 금지하며 기재 내용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또한, 첨부된 이미지는 참조용으로 내용과는 직접적인 ..
러시아, 2025년도 명태 쿼터 확대 러시아정부는 2025년 극동 태평양지역에서의 명태 어획량 쿼터를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는 명태 자원 보호를 위한 과학적 권고와 수산업계의 요구와 상반되는 결정으로, 어업 및 해양 생태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2024년 러시아의 명태 총 허용 어획량(TAC)은 228만 5천 톤으로, 2023년보다 확대된 수치이다. 이에 대해 러시아 전어업기업협회(VARPE)와 명태어업협회(ADM) 등 여러 수산업 단체는 자원 보호를 위해 TAC를 줄일 것을 요구하였다.수산물에 대한 설명과 유통/무역, 수출입업체, 수산물 동향, 수산물 통계등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세요?2000년, 부산에 설립된 수산전문사이트인 forsea의 관리업체인 "유니언포씨"에서 상담하세요.관련문의 대표전화 : 051-242-5300
러시아에서의 명태 TAC, 2023년에 감소... 2023년 러시아아의 명태 총허용 할당량은 2022년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베링해는 늘고 오오츠크래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총허용 할당량(TAC)은 206만톤으로 올해의 208만톤 대비 2만톤이 줄어드는 수치이지만 조정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2022년도의 경우, 최초 명태TAC은 193만톤이었지만 베링해에서의 물량은 409,700톤에서 559,00톤이 조정된 바 있다. 수산물에 대한 설명과 유통/무역, 수출입업체, 수산물 동향, 수산물 통계등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세요? 2000년, 부산에 설립된 수산전문사이트인 forsea의 관리업체인 "유니언포씨"에서 상담하세요. 관련문의 대표전화 : 051-242-5300 -보유하고 계신 수산물 판매를 하고 싶은가요? -유통경험이 없..
7월까지 냉동 명태 수입량 140% 상승 2022년 7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724,699톤이며 냉동 명태가 차지하는 비중은 30.52%인 221,204톤이 수입되었으며 전년 2021년도의 경우 92,168톤이 수입되어 전체 수입량인 583,312톤 중 15.8%를 차지하였다. 7월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29,094톤으로 전년 17,744톤 대비 64% 증가하였으며 누적 수입량은 221,204톤으로 전년 92,168톤 대비 140%의 증가세를 보인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7월 평균 수입량은 11,022톤이며 최근 6년간 누적 수입량은 2022년에 221,204톤으로 가장 높았고 2019년에 65,287톤으로 가장 낮은 수입량을 보이고 있다. 문서번호: SH-2022-0825-1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
러시아산 냉동 명태 수입량, 148% 늘어나..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러시아에서 수입한 수산물이 2021년의 동기간 대비 86%가 늘어난 346,295톤이 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산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총 수입물량인 724,699톤의 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입량을 많은 순으로 보면, 냉동 명태가 218,429톤이 수입되어 전년 동기의 88,227톤 대비 148%가 늘어났으며 평균수입단가는 USD 1.10/키로에 형성되어 2021년의 USD 1.06/키로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2번째 수입량이 많은 냉동 청어는 22,72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9,961톤 대비 128%가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냉동 대구가 18,174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17,892톤 대비 2%가 늘어났다. 4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곱사연어는 16,..
러시아, 7월 5주차 수산물 가격 상승 러시아 수산물의 가격이 최근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2022년 7월말 기준으로 극동조업 해역과 북부조업 해역에서 생산된 냉동 수산물의 시세가 상승세로 전환 것으로 최근 몇 달 동안 러시아 수산물 가격은 루블화 강세로 하락세을 보였지만 7월말부터 루블화가 약세를 유지하자 수산물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루블화 약세가 지속되면 수산물 시세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1째주 기준으로, 극동조업 해역에서의 분홍연어의 가격은RUB(러시아 루블) 160 ~ 190/키로, 냉동 명태는 RUB 90 ~ 120/키로, 냉동 청어는 RUB 60~80/키로와 냉동 대구는 RUB 185 ~ 220/키로에 형성되고있다. *** 상기 기재된 내용은 (주)유니언포씨의 자료를 일부 인용하여 기..
6월까지 냉동 명태 수입량 158% 상승 2022년 6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626,267톤이며 냉동 명태가 차지하는 비중은 30.68%인 192,111톤이 수입되었으며 전년 2021년도의 경우 74,424톤이 수입되어 전체 수입량인 500,364톤 중 14.8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19,632톤으로 전년 17,505톤 대비 12% 증가하였으며 누적 수입량은 192,111톤으로 전년 74,424톤 대비 158%의 증가세를 보인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6월 평균 수입량은 7,439톤이며 최근 6년간 누적 수입량은 2022년(192,111톤)에 가장 높았고 2019년(61,951톤)에 가장 낮은 수입량을 보이고 있다. 6월까지 냉동 명태 주요 수입국가인 러시아에서 189,626톤, 미국에서 2,37..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량 증가 지속 러시아산 수산물의 한국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러시아에서 수입된 수산물은 298,210여톤으로 2021년 동기간 수입량인 152,233톤과 비교하면 96%가 늘어난 물량이다. 수입금액은 USD 7억 5,880만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4억 4,270만달러 대비 71%가 증가하였다. 가장 수입물량이 많은 냉동 명태는 189,626톤이 수입되어 2021년의 70,645톤 대비 168%가 늘어났으며 전체수입량의 66%를 차지하였고 2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청어는 20,051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6,619톤 대비 203%가 늘어났으며 수입량의 7%를 차지하고 있다. 3번째로 수입량이 많은 냉동 곱사연어는 15,604톤이 들어와 전년동기의 889톤과 비교하여 1,655%..
2022년 6월까지 수산물 수입물량 25% 증가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수산물 626,267톤이 국내로 수입 되었으며, 2021년 동기의 수입량인 500,364톤 대비 25.2%가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은 USD 25억 5만 달러로 전년동기의 USD 20억 315만 달러 대비 2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많은 10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청어, 냉동 오징어, 냉동 대구, 냉동 곱사연어, 냉동 아귀, 냉장 연어, 냉동 주꾸미, 냉동 오징어동체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어종은 냉동 곱사연어이며 2021년 대비 1,656%가 늘어났으며 반대로 가장 많이 감소한 어종은 냉동 오징어로20%가 줄어들었다. 냉동 명태를 포함한 청어, 대구 등은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냉동 고등어, 아귀 등을 포함한 5..
러시아 극동해역, 명태 생산량 전년대비 16% 늘어… 러시아 태평양 극동해역(FAO61)에서의 어획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지난 3월 10일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의 명태 어획량은 520,000톤으로 2021년 동기보다 16%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다. 오호츠크해역에서는 466,200톤의 명태가 조업 되어 2021년 대비 18%가 증가 하였으며 태평양 청어의 경우 71,300톤이 어획 되었으며 이중 북부 오호츠크 해역에서 67,100톤이 잡혔다. 또한, 대구도 29,000톤이 생산되었는데 서부 베링해역에서 5,000톤, 동부 캄차카해역에서 7,300톤, 오호츠크 해역에서 9,600톤이 잡혔다. 오호츠크 해역에서는 92척이 명태를 작업하고 있으며 4척이 청어를, 3척이 대구를 조업하고 있으며 통계에 따르면 명태는 전년보다 많이 조업이 되었으며 대구/..
1월 냉동 명태 수입량 32% 상승 2022년 1월 누계로 수입된 수산물은 총 98,158톤이며 냉동 명태가 차지하는 비중은 19.8%인 19,469 톤이 수입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비중인 15.5% 보다 높은 수치이다. 2021년 1월까지 수입된 냉동 수산물은 95,292톤으로 이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14,799톤으로 집계되었다. 2021년 1월중 냉동 명태 수입량은 19,469톤으로 전년 14,799톤 대비 32% 증가하였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1월 평균 수입량은 11,341톤으로 2022년은 평균 대비 72% 증가하였다. 올해 1월 누적 냉동 명태 주요 수입국가는 러시아, 미국 순으로 총 2개국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에서 14,799톤, 미국에서 183톤 순으로 수입되었다. 국가별 평균 수입단가는 미국 USD 1.5..